[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과목 & 공부법 - 2

2020. 5. 19. 20:27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이것저것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면허있는 백수인 면백이 입니다.


저번 글에 이어서 철도차량운전면허 과목 & 공부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과목 & 공부법 - 1

안녕하세요! 면허있는 백수인 면백이 입니다. 저번 게시글에 철도차량 운전면허 취득 방법에 대해 글을 올렸었는데요 신체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면허교육기관 입교시험까지 무사히 잘 통과 �

psdoor.tistory.com

저번 게시글에서는 이론수업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했으니

이번에는 기능수업과 현장실습을 살펴보러 가보겠습니다.


면허교육기관에서 이론수업을 다 듣고, 마스터 하셨다면 기능수업으로 진행을 하시게 될텐데

 

기능수업 과목은


준비점검

제동기취급

제동기외 기기취급

신호준수 운전취급 및 신호, 선로숙지

비상 시 조치 등


이렇게 5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과목별로 설명을 드리기 전에 전체적인 기능시험에 대해 먼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기능시험은 준비점검 10+주행 40 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시험은 모의운전연습기(시뮬레이터) FTS로 시험을 보게됩니다.

 

시험구간은 산본에서 남태령(상선) 또는 남태령에서 산본(하선) 둘중에 하나를 랜덤으로 응시 하게 됩니다.

 

또한 연습을 하시다보면 머리를 쓰는 것 보다 몸이 기억해서, 머리보다 손이 먼저 나가야지만 무난하게 시험에 합격하실 수 있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럼 이제부터 과목별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준비점검

제일 중요한 과목이자 당연히 100점을 맞아야 하는 과목입니다.

 

준비점검은 10분이 주어지며, 첫 열차의 기동을 시키는 작업입니다.

 

여담이지만 실제로도 열차 기동시에 10여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첫 운전실에 들어가서 기동 순서지적확인환호응답을 실수없이 잘 하신다면 무난하게 100점을 맞으실 수 있을 겁니다

준비점검 中
EBCOS동작시험하겠습니다
EBCOS투입 -> 비상제동 완해 -> EBCOS복귀 -> 비상제동 동작 -> EBCOS 양호

 

2. 제동기취급

제동기취급은 말 그대로 제동을 얼마나 잘 쓰고, 정위치 정차를 잘 하는가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초제동2단 -> 4단 -> 3단->2단->1단 정차 후 제동4단 유지

이 제동 방식이 정석적인 제동이라고 하나, 면허기관의 제동 감도, 시험장에서 제동 감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첫 제동감도시험때와 첫 도착역에서의 제동으로 감도를 어느정도 파악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또한 제동 도중에 완해를 쓸 경우 감점이라 하니 유의 해야 합니다.

 

3. 제동기외 기기취급

이 과목은 동력운전, 제동기 이외에 비상제동스위치, 차단기 등등 여러 기기를 평가하는 과목입니다.

이는 비상 시 조치 과목의 상황(운행중 비상제동체결) 등 상황에서 올바른 차단기, 스위치를 조작하는지를 평가 합니다

 

4. 신호준수 운전취급 및 신호, 선로 숙지

이 과목은 여차하면 감점되기 굉장히 쉬운 과목입니다.

 

비상 시 조치에서 설명을 드리겠지만, 시험 중간중간 비상상황(단전, 낙석, 사상사고)이나, 구술 질문에 답변을 해야하는데, 상황이나 구술에 신경을 쓰다보면

정위치정차나, 속도초과, 임시신호기 제한속도 등을 놓칠수 있기 때문에, 어느 신호에서 어떤 속도가 현시되고, 어느 신호기가 있는지 전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비상 시 조치 등

운전하는 도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 구술을 평가하는 과목입니다.

 

2호차 객실비상(객실비상통화장치), 2호차 객실화재, 사상사고 등 상황부터 XX가 불능시의 조치사항에 대해 답변하라는 구술 등

 

모든 비상상황에 조치해야할 구술이나 상황을 숙지하지 않으면 감점받기 쉬운 과목입니다.

주공기압력 저하시 현상 및 조치사항

현상

1. 비상제동 체결, 역행 불능

2. 계속 MR압력 저하시 MCB차단, Pan 하강

 

조치

1. 공기 누설여부확인

2. 모니터로 공기압축기 구동여부 확인

3. CMCN CMGN 확인

4. Pan하강, 제동핸들취거 10초 후 재기동

5. EBCOS 취급 후 전도운전, 복귀 불능시 구원요구

 

이렇게 기능시험에 대한 설명이 끝났습니다


그럼 현장실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장실습은 기관별로 다르나 해당 교육기관의 차량기지, 열차 내에서 실제로 장치 등을 보며 실습하게 됩니다.

 

보통 하루에서 이틀정도 실습장에서 실습을 하게 되는데, 기관마다 실습은 다르기 때문에 입교 하시고 실습 나가보신다면 유익한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ㅎㅎㅎㅎㅎ

 

저는 현장실습 나갔을 때 4개역 정도를 실제로 운행을 해보기도 했습니다(관리자분, 감독관분들 동석했습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철도차량운전면허에 대해 더 유익하고 실질적으로 도움 되는 글을 많이 포스팅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