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과목 & 공부법 - 1

2020. 5. 9. 02:16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이것저것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면허있는 백수인 면백이 입니다.


 

저번 게시글에 철도차량 운전면허 취득 방법에 대해 글을 올렸었는데요

 

신체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면허교육기관 입교시험까지 무사히 잘 통과 하셨다면

 

본격적으로 철도차량운전면허 교육과정에서 어떤과목을 배우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코레일 인재개발원

서율교통공사 인재개발원

부산교통공사 BTC아카데미

우송대학교 디젯아카데미

한국교통대학교 평생교육원

동양대학교 철도기술교육센터

송원대학교 철도아카데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아카데미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우선 위의 면허교육기관에 입교를 하게 되면

 

교육기관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약 4달가량 수업을 듣게 됩니다.


면허교육기관에서 배우는 수업을 살펴보면

 

 

크게 교육과정을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론이 (조금 많이) 길긴 했지만ㅋㅋㅋㅋ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하나하나 파헤쳐 보겠습니다~

 


 

 

처음 입교를 하면 보통 이론수업부터 시작을 하게 됩니다!

 

당연하지만 이론수업 과목 = 필기시험 과목 입니다.

(새벽에 글쓰고 있어서 제정신이아닌가봅니다ㅋㅋㅋㅋㅋㅋ)

 

 

필기시험 과목은


철도관련법

도시철도시스템 일반

운전이론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비상 시 조치


이렇게 5과목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목별로 뜯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ㅎㅎ

 

1. 철도관련법 

철도관련법은 철도안전법(시행령, 시행규칙) + 철도차량운전규칙 + 도시철도운전규칙 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필기시험에서는 보통  안전법 12~15문제정도 철도규칙+도시규칙 5~8문제정도 출제가 되는편입니다.

 

 

철도안전법/령/규칙에서는 법과 령/규칙간의 상호 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철도안전법 제47조(여객열차에서의 금지행위)
  ① 여객은 여객열차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정당한 사유 없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여객출입 금지장소에 출입하는 행위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제79조(여객출입 금지장소)
  법 제47조제1항제1호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여객출입 금지장소"란 다음 각 호의 장소를 말한다.
      1. 운전실     2. 기관실    3. 발전실    4. 방송실
법에서 대통령령(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라는 말은 시행령(시행규칙) 에 세부적인 내용이 더 있기 때문에 이를 꼭 숙지하고 가는게 중요합니다!

 

철도규칙, 도철규칙에서는 두 규칙이 비슷하면서 다르기 때문에 차이를 알고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도차량운전규칙 제2조(정의)
5. "열차"라 함은 본선을 운행할 목적으로 조성된 철도차량을 말한다.
6. "차량"이라 함은 열차의 구성부분이 되는 1량의 철도차량을 말한다.

도시철도운전규칙 제3조(정의)
3. "열차" 란 본선에서 운전할 목적으로 편성되어 열차번호를 부여받은 차량을 말한다.
4. "차량" 이란 선로에서 운전하는 열차 외의 전동차, 궤도시험차, 전기시험차 등을 말한다.
철도차량운전규칙과 도시철도운전규칙은 같으면서도 다른 내용이 정말 많아 헷갈릴 수 있으니 둘의 차이를 비교하면서 공부하는게 중요합니다!

법은 "철도운영자" 와 "철도운영자등" 이렇게 한 음절 차이라도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 보다 1번이라도 많이 읽어보는게 공부하시는데에 도움이 됩니다! 

 

 

2. 도시철도시스템 일반

도시철도 시스템 일반은 전체적인 도시철도에 관한 내용입니다.

 

후에 소개할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과목을 간추리면서도 다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교재의 내용은 다른 과목보다는 이해하기 수월하나 막상 시험을 봐보면 제일 어려운 과목중에 하나입니다.ㅠㅠㅠ

(이과목이 제일 어려웠어요ㅜㅜㅜㅜ)

 

 

3. 운전이론

한글자로 설명을 한다면 물리 라고 설명될 수 있을거 같습니다ㅎㅎ

 

시험은 20문제중에 계산문제 2~4문제 정도 출제되고 나머지는 글로 되어있는 문제입니다

 

일반적인 물리학(가속도, 감속도 등등) 에서부터 전동기, 동력차 견인력, 열차 저항 등 내용이 어렵습니다.

 

또한 점착계수나 운전계획상 출발저항 값 등 공식 말고도 시험문제 풀이를 하면서 외워야 할 숫자들이 많습니다.ㅎㅎ

운전계획생 출발저항값
(kg/ton)
평상시
평축 Roller축
객차열차 8 3
화물열차 8 -
기동열차 3 -
전동열차 3 -
단행기관차 8 5
이런 숫자들을 많이 외워야 합니다..ㅠ (한두개가 아니에요!!!)

 

 

4.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과목의 사실상 하이라이트 입니다!!!!!

 

열차 전체의 모든 장치, 회로, 원리 등을 배운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이과목이 제일 재밌었는데, 주변 동기들은 제일 싫다고 하더라구요ㅋㅋ)

 

이책을 공부하기 위해서 [전기동차 도면집]이라는 교재도 같이 보시면서 공부를 하시게 될겁니다!

 

이 과목은 용어나 차단기, 회로도 등을 전부 다 아는 조건 하에 흐름을 통해 배우시면 수월하게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와 함께 설명드리면

1. 총설 철도의 역사 등 전기동차의 전체적인 특징을 다뤘습니다.
2. 결선도 보는법 회로도를 봐야하기 때문에 차단기, 단로기, 접점 등을 배웁니다.
3. 용어 생소한 열차 내부 장치 용어를 배웁니다.
4. 특고압장치 7000V 이상의 특고압 장치에 대해 배웁니다.
ex) 팬터그래프, MCB, ADCg..
5. 주회로장치 주회로인 인버터 컨버터 등 팬터그래프에서 수전받는 전원이 전동모터에 도달하는 회로 등을 배웁니다 
6. 고압보조장치 DC750V(AC600V)~7000V 사이의 고압장치 (SIV, CM) 을 다루고있습니다.
7. 저압보조장치 DC750V(AC600V) 이하의 장치를 다루고있습니다. (전조등, 출입문 등등)
8. 제동장치 어떤 원리로 제동이 되는지 등 제동장치에 대해 배웁니다!
9. 운전보안장치 ATC, ATS, ATO 등 열차 신호장치 등 보안장치를 배우게 됩니다.

총 출제 문제수는 40문제입니다! 

 

 

5. 비상 시 조치

마지막 과목인 비상시 조치는 여러 오류에 대해 배우는 이례상황과 실제 열차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을 배우는 비상시 조치. 총 2개의 파트로 이루워져 있습니다.

 

처음에 글로만 읽었을 때에는 쉽게 이해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ㅜㅜ

 

실질적으로 비상시 조치 파트는 기능시험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공부는 하시되 기능시험준비를 같이 하실 때면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동력운전 불능시 조치
1. 전후진제어기 전진위치 확인
2. MCB 투입여부 확인
3. 출입문등 점등여부 확인 (점등 불능시 후부 DILPN 확인)
4 제동핸들 완해위치에서 2~3초간 역행취급
5. 전부운전실 주차제동 완해위치 확인
  .....
8. 불능시 후부운전실에서 취급

-

이렇게 글로만 되어있으면 잘 이해가 안갈 수 있지만, 실제로 기능시험 연습때 모의운전연습기(PTS, FTS)로 같이 해보시면 한번에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렇게 이론수업 과목(필기시험 과목)에 대해 설명이 끝났습니다!

 

제가 소개한 과목이 지금 입교를 한사람, 할 사람에게는 약간 내용이 바뀔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실 한 게시글에 기능수업, 현장실습도 같이 포스팅 하려 했으나ㅜㅜ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별도의 게시글로 올리겠습니다!

 

오늘도 마무리는 인증으로 끝내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과목 & 공부법 - 2

안녕하세요! 면허있는 백수인 면백이 입니다. 저번 글에 이어서 철도차량운전면허 과목 & 공부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과 기능시험 과목 & 공부법 - 1 안녕하��

psdoor.tistory.com

↑두번째 이야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