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HRDA 제동장치 요약

2020. 9. 1. 20:50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728x90
반응형

1. HRDA 제동장치

  - 회생제동과 공기제동을 병용하는 일괄교차 연산식의 HRDA전기공기방식 채택

  - 비상제동회로 상시여자 방식

  - 제동제어기 취급, ATC,ATS동작, 주공기압력부족, 비상스위치 취급, 열차분리 등의 조건에 의한 높은 감속도유지위해 공기제동만 작용

 

2. HRDA 제동장치 특징

  - 상용제동은 반드시 유니트 단위 제어, 구동차/부수차로 편성

  - 상용제동시 순수한 전기지령식 제동장치

  - 상용제동시 구동차 EOD가 부수차 제동까지 제어하는 일괄교차 제어식

  - 회생제동 작용으로 최대의 전기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사용

  - 감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규제하여 승차감 향상

  - 사용/비상제동불능시 보안제동 사용

  - 비상제동 작용시 회생제동 체결되지 않음(공기제동만)

  - 스프링 작용에 의하는 주차제동장치 설치

  - 활주방지장치 설치로, 활주발생시 차륜과 레일의 마모를 줄이고 제동거리를 단축시킴

  - 공주시간 짧음(비상제동시 1.3초)

  - SELD형 제동장치, 4호선차, 디젤기관차와 합병운전이 가능하도록 BTU 설치

  - 차량간 주공기통관 1개만 인통(제동관[BP], 직통관[SAP] 없음)

 

3. 제동제어기 스텝별 제동 코드 (상용제동선)

  완해 1 2 3 4 5 6 7 비상
27선   O   O   O   O  
28선     O O     O O  
29선         O O O O  

  * 27선=1 / 28선=2 / 29선=4 로 생각하면 쉬움

  * EX) 제동 6단 = 28선(2) + 29선(4) 

  * EX) 제동 5단 = 27선(1) + 29선(4) 

  * EX) 제동 3단 = 27선(1) + 28선(2)

 

4. 제동제어기 접점

과천선 HRDA 4호선 KNORR
SS1 - SS7 - 상용제동선 가압 (27~29선) SS1 - SS7 - 상용제동선 가압 (27~29선)
E1 - E3 - 비상제동 및 완해 E1 - E3 - 비상제동 및 완해
S1 - 회생제동회로 구성
- 동력운전회로 차단
S1 - 동력운전회로 차단
S2 - 축전지 on/off
  (배터리접촉기(BatK) 동작)
S2 - 직류모선 가압(BatK)
S4 - 상용7단 제동취급시
  제동력부족 감지지령회로
 S4 - 상용7단 제동취급시
  제동력부족 감지지령선 가압
S5 - ATC 지령속도 초과시 (ATC 확인제동) S5 - ATC 지령속도 초과시 (ATC 확인제동)
S6 - 제동1~7단, 비상 위치에서
  속도기록계 표시
S6 - 속도기록계 표시
S7 - ATS 제한속도 초과시 확인
- ATS, ATC 절환
S7 - ATS 제한속도 초과시 확인
S8 - 구원운전시 비상제동 복귀회로 구성 S8 - 구원운전시 비상제동 회로 구성
S9 - 운전실 선택회로 구성 S9 - 운전실 선택회로 구성
    D1 - DMS에 의한 DMTR 여자회로구성
    D2 -발전제동회로 구성

 

5. HRDA 제동장치  흐름 요약 (BOU[Breake Operating Unit]함 내부)

디자인 좀 괜찮게 다듬은듯. 내가봐도 보기 이쁨..ㅇㅇ ㅎㅎ

  - EOD (제동제어유니트)

      : 마이크로 프로세스에 의한 제동제어를 담당

  - EPV (전공변환밸브)

      : EOD에서 지령하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작용공기를 생성하여 공기제동압력을 생성

  - VLV (응하중밸브)

      : 비상제동작용시 응하중 작용을 함

  - EBV (브)

      : 32선 소자시(평시에 상시여자) 비상제동 작용공기를 생성

  - D-DCHV (D형 복식체크밸브)

      : 상용제동 공기 / 비상제동 공기의 통로를 결정함

  - RV (중브)

      : 제동통에 작용하는 BC공기를 생성

  - Y 절환밸브

      : 강제완해 전자변이 여자될 경우 BC공기를 배기시켜 제동을 강제로 완해 시킴

  - PEC (공전변환기)

      : BC공기압력을 전류의 양으로 변환 -> 모니터에 전송

      : 제동불완해, 제동력부족 감지

      : CRV를 제어

  - CRV (브)

      : 제동불완해 검지 시 강제완해스위치(운전실의 CPRS)를 취급하면 PEC 지령에 의해 여자되어 공기배기

  - PRV (압력조정밸브)

      : 출입문 장치 등 제어장치용 CR 제어공기통에 일정한 압력공기를 축적시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