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1. 16:18ㆍ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1. 과천선 출입문 개요
- 출입문 표준규격 : 폭 1,300mm / 높이 1,860mm
- CrS 및 DOS 취급하여 일괄 개폐
- 출입문 구분 : 공기계통, 전기계통, 기계장치
- 출입문 개수 : 량당 좌우측 각 4개 총 8개
2. 공기계통
- MR관으로부터 CR 감압변을 통해 5kg으로 조절된 CR공기를 사용
- DMV 여자시 : 열리는 쪽 엔진에 공기가 공급, 출입문 개방
- DMV 소자시 : 닫히는 쪽 엔진에 공기가 공급, 출입문 닫음
- 수동으로 취급하도록 출입문마다 개별콕크가 의자 밑 1개씩 설치 (=열차 내 출입문 비상콕크)
- 비상시 1량당 8개 출입문을 수동취급하는 콕크 3개 : 객실내, 차 외측 중앙 좌우
- 대표콕크 취급시 배기음이 정지되어야 수동으로 개방 가능
3. 기계장치
- 구성 : 상부, 하부Rack, 피니언기어, 실린더, 속도조정나사, 쿠션조정나사, 피스톤로드, DS 접점 등
- 쿠션조절 : 4개의 공기쿠션조절나사 : 상부 우측은 닫힘/좌측은 열림, 하부우측은 닫힘/좌측은 열림
- 개폐작용 : DMV 여자/무여자 됨에 따라 출입문 개폐
- 출입문 개폐 스위치 : DOS
: CrS - 출입문 키 삽입 후 봉을 비틀어 올리는 기계적인 방식
: DOS - 버튼 누르는 방식
: 각 차량의 DrR을 여자시켜 출입문 개방
4.1. 과천선 출입문 연동 스위치 (DS)
DILP 접점 | DLP접점 | DRO접점 |
출입문이 닫힌 것을 기관사가 확인 하기 위한 접점 |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하는 접점 | 승객, 또는 물건이 끼었을 때 해당 출입문만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함 |
출입문 간격 7.5mm 이하 시 접촉 출입문등(DILp등) 점등 |
출입문 간격 12.5mm 이상 개방시 접촉 차량 외측 차측등(DLp등) 점등 |
출입문 간격 12.5mm 이상 벌어졌을 때 DROS 취급시 해당 출입문 선택적 개방 |
역행회로 구성하는 접점 | 각 차량 4개중 1개만 열려도 DLp 점등 | DRO 접점에 의해 출입문 개방상태에서 DHS 취급해도 반감되지 않음 |
DIR1 연동 : 역행제어, 연동운전 DIR2 연동 : DILp, ILp 점등 |
4.2. 4호선 출입문 연동 스위치 (DS)
- 4호선은 전자변 1개, 도어엔진과 일체형
- 나머지 DILP, DLP. DRO접점은 과천선과 동일
4.3. 4호선 수동압봉 레버의 조작
- DMV 불량으로 레버 취급시 출입문 수동으로 열 수 있음
- 당기고 있는 동안열림, 놓으면 복귀스프링 작용으로 닫힘
5. 전기계통 (출입문 회로)
1) 과천선 CrS(DOS)로 출입문 개방할 수 있는 조건
- ZVR 여자시 (5km/h 이하)
- LSBS 취급시 (ZVR 고장으로 인한 BY-PASS 스위치)
- 제동핸들 취거시 (HCR, TCR 무여자상태)
- 전후진제어기 OFF 시
2) 출입문 개방회로
- 5km/h 이하에서 ZVR 여자 후 CrS 취급 -> DrR1 -> CrS2 -> DrR2 여자
- 5km/h 이하에서 ZVR 여자 후 DOS1,2 취급 -> DrK1,2 여자, DCS 취급 전까지 출입문 개방
- CRSN 차단시 : 전체 출입문 열림 불능
- DMVN1,2 차단시 : 해당 차량 출입문 열림 불능
3) 출입문 표시등회로
- DLPN이 차단될 경우
: 모니터에 출입문 열림상태 표시 불능
: 출입문 차측 적색등 점등 불능
: TC차의 경우 출입문 반감 불능
4) 출입문 재개폐회로 (DOS, DROS 접점 불량시 구분/조치)
- 두 경우 전부 출입문 개방 후 CrS Off시켜도 출입문 닫히지 않음
- CrSN Off후 ON시 열리면 CRS 고착, 열리지 않으면 DROS 고착으로 판단
- CrS 고착시
: 회송하는 것이 원칙
: 입고역 까지 고착된 쪽 방향에 승강장이 있을 경우 CrSN ON/Off로 출입문 취급
- DROS 고착시
: 출입문 열림상태에서는 닫히지 않음
: CrS 로 ON/Off 후 CsRN을 Off 하여 출입문을 닫고, 다른역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취급
5) 출입문 반감회로
- 동절기에 시발역에서 장시간 태치중 객실내 보온유지 위해 2~3개 출입문을 닫아두기 위함
- 출입문 닫힌 상태에서만 가능
- 출입문 열림 상태에서는 DRO 접점에 의해 DMV가 여자, 출입문이 반감되지 않음
6) 출입문 역행회로
- 전부 DILPN 차단시 : 출입문등 소등, 역행 가능
- 후부 DILPN 차단시 : 출입문등 소등, 역행 불능
6. 과천선 LSBS, DIRS
- LSBS : ZVR 고장 등으로 풀입문 열림 불능시 사용 (관제승인 하)
- DIRS : 출입문 닫힘 불능으로 역행 불능시, 비연동시켜 역행을 가능케 함 (관제승인 하)
- 두 스위치 모두 운전실 우측 하단에 있음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꿀팁 - 운전실 전면 스위치, 차단기 정리
안녕하세요 면백이 입니다. 오늘은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이해하시기 조금이라도 편하도록 운전실의 스위치랑 배전반 차단기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다 일일이 그린거라,, 퀄리티 떨어지는건
psdoor.tistory.com
7. 4호선 출입문 보안장치
- 열차속도 3km/h 이상시, 출입문 개폐스위치를 취급하여도 회로구성 불능으로 출입문 개방 불가
- 운전실에 설치, 동작시 적색전원점등, 열차가 정지되면 녹색저속도등 점등되어 출입문 개방 가능
- 열차속도 3km/h 이상시 녹색 저속도등 소등, 출입문 개방 불가능
- Power S/W(LSRN)차단시 전원등 소등, 출입문 개방 불가
: 전체 출입문 열림 불능,및 보안장치 고장시 LSBS 취급하면 출입문 개방 가능
'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HRDA 장치별 기기, 기능 (0) | 2020.09.06 |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HRDA 제동장치 요약 (10) | 2020.09.01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제동개요 (5) | 2020.09.01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고압보조장치 - 연장급전 (1) | 2020.08.31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고압보조장치 - 과천선 송풍기, 냉난방 장치 (2)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