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HRDA 상용,비상,보안,주차제동

2020. 9. 13. 21:22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728x90
반응형

 

ㅗㄱ

 

1. 상용제동

 

 

ASCCN 회로  
ASCCNATS/ATC Change NFB

- 차단될경우 ATS/ATC 절환 불능
HCR4Head Control Relay
(특고압 - 운전실 선택회로)
DSSR (DSSRR)Dead Section Indication Realy (Aux-Relay)절연구간 진입시 여자
BZBuzzer부저

- - -

MCN 회로= 11선 가압조건 (주회로 역행회로) 
MCNNo-Fure Breaker "ME"


 - 운행중 차단  : ACV점등, MCBoff등 점등, SIV등 소등
HCR3Head Control Relay
(특고압 - 운전실 선택회로)
MC [F,N,R]Master Controller
진행, 중립, 후진의 상태일 경우 여자
BRBrake Relay

ATC 속도초과 상태가 아닐경우 여자
ZVRZero Velocity Relay5km/h 이하 = 정차중일 경우 여자
ELBRElectric Brake Relay
= 제동핸들 완해위치일 경우 무여자 (회로구성)
PBPSParking Brake Pressure Switch
주공기압력이 6~7kg 이상
DIR1Door Interlook Relay전체 출입문이 완전폐문 상태 일 것
DIRSDoor Interlook Relay Switch
(운전실 좌측 하단에 위치)
PS2 (N1-N4)Power Switch역행핸들  1~4단 취급시

- - -

BVN1 회로  
BVN1Brake Control NFB

 - 차단시 비상제동체결, 역행 불능
S1(1~7 Step)Brake Step (1~7)제동핸들을 1~7단 취급시
ELBCOSElectric Brake Cut Out Switch

 - 차단시 회생제동 사용 불가(공기제동만)
ZVRZero Velocity Relay5km/h 이하 = 정차중일 경우 여자
DSSRRDead Section Indication AuxRelay절연구간 진입시 여자
EBR1Emergency Brake Relay
EBR1 소자시 10(회생제동)선 차단됨 = 비상제동체결
EBVEmergency Brake Magnet Valve비상제동 전자변 (상시여자)

 

 

 

  - 제동핸들 1~7단 취급시 ELBR 여자 -> 11선(제동지령선 차단)

  - ELBCOS (회생제동 차단) - ZVR (속도 5km/h 이상) - DSSRR (절연구간이 아님)

  - EBR1 (비상제동지령 상시여자상태) -> 10선 (회생제동선 가압)

  - C/I -> EOD에 제동신호 입력 -> 27~29선 가압

  - EOD에서 구동/부수차로 EPV로 제동지령제동공기 투입 -> 제동체결

제동핸들 조작 -> EOD 제동지령 -> EPV에서 공기력 변환 -> DCHV -> RV -> Y절환밸브 -> S-DCHV -> 제동통

  - 이때 제동체결은 AS 응하중압력, 클로스블랜딩(일괄교차제어)를 한다.

  - 구동차 회생제동을 우선체결, 부족분에 대해 부수차의 공기제동력으로 보충

  - 회생제동력 감소에 따라 구동차의 공기제동이 작용

  - 속도가 5km/h 이하가 되면 회생제동선이 차단되어, 공기제동만 이루어 지도록 함

  - ATC 지령속도 초과시 ATCSBR에 의해 상용 7단 체결

 

 1-1) BVN1 회로도

 

 

BVN1 회로  
HCR1Head Control Relay
(특고압 - 운전실 선택회로)
US
저속도 계전기

지령속도 < 실제속도 -> 소자, 자동으로 ATC 상용7단 체결
VZ
정지속도 계전기




과천선은 출입문 열림조건 형성
BA
제동 보증 계전기 


속도초과시 ATC 비상제동이 걸리는 것을 방지
BZBuzzer부저
BRBrake Relay

ATC 속도초과 상태가 아닐경우 여자
ATCCOSATC Cut-Out Switch

관제 승인 하 ATC 신호를 차단하고, 45km/h로 운전가능
ATSCOSATS Cut-Out Switch

관제 승인 하 ATS 신호를 차단.
ATCSBRATC Service Brake RelayATC 상용제동 계전기
ATCEBRATC Emergency Brake RelayATC 비상제동 계전기
ATSEBRATS Emergency Brake RelayATS 비상제동 계전기
DSDDrivers Safety Device
하단 후술
DSDRDrivers Safety Device Relay

5초 후 DSDR 소자로 비상제동 체결
ATCRATC RelayATC 계전기
ATSRATS RelayATS 계전기
EMR정보없음..상시여자 상태
CgSRRChange Signal ATC,ATS Aux RelayATS,ATC 절환 신호 보조계전기
CNSRNormal Signal Relay정상신호 계전기
ZVRZero Velocity Relay5km/h 이하 = 정차중일 경우 여자

 

 

  - US (ATC 지령속도 초과시 소자) -> ATCSBR 계전기에 의해 상용 7단제동이 체결됨

  - VZ (속도가 5km/h 이하시 여자) -> ZVR 여자 (회생제동 차단, 공기제동만 이용, 출입문 회로 구성)

  - DSDR (운전자 경계장치에서 손 뗄경우) -> 5초 뒤 EMR(평시 상시여자상태) 소자로 비상제동 체결

  - DSD (운전자 경계장치에 손 대고있을 경우), ZVR(속도가 5km/h 이하) -> DSDR(Off) 계전기 여자로 DSD 해제

  - DSD에 손을 떼고, ZVR 속도가 5키로 이상이고, 어떤 이유로 EBR여자 -> 비상제동 체결시 부저 울림 

 

2. 비상제동

 1) 특징

 - 안전을 고려한 상시여자 방식의 Fail-Safe 방식 채용

  - 비상제동 작용시 31,32선 무가압으로 비상제동 체결

  - 순수 공.기.제.동 만 사용

  - 제동제어기 지령[제동핸들 비상위치] (수동작용)

  - ATC 비상지령, ATS 비상지령

  - 열차분리, 주공기압력 저하(MRPS 동작)

  - 비상제동스위치[차장변] (EBS1,2 취급)

  - 운전자 경계장치 [DSD] 동작시

  - 구원조작스위치 RSOS 오조작으로 체결

  - 비상제동 동작시 EBR1 소자로 10선[회생제동선] 차단

  - 전부운전실 31선 ~~ 후부운전실 32선이 가압, 전차량 EBV 여자로 루프회로 구성

  - 회생제동회로 구성을 위한 EBR1, BER 자기유지회로 및 BR여자를 위한 EBR2 계전기를여자

  - 제동제어기[제동핸들] 7단에 위치시키면 BER이 여자되어 비상제동이 완해됨

     = 비상제동을 푸려면 제동핸들을 7단에 두어야 함

 

아래 동영상 회로도 설명 (용량이 커서 GIF가 안되네요)

비상제동 회로 설명

 2) DSD(운전자경계장치)

  - 열차속도 5km/h 이하, 역행 및 타행시 DSD 누름상태, 상용 1~7단 취급시 DSDR 여자 -> EMR2 여자, 비상제동 루프 회로구성

  - DSD에서 손을 떼고있을 경우[=DSD동작] "안전운행합시다" 방송 후 5초뒤 DSDR 소자로 즉시 비상제동 체결

  - ZVR여자시 (속도 5km/h 이하) 비상제동 체결 안됨

  - DSD는 역행핸들을 누르고 있는 행위임

 

 3) ATSCOS

  - 운전실 뒤 벽 배전반 우측에 위치

  - ATS비상지령, ATS 차상장치 고장 시 ATSEBR 여자되어 비상제동 체결

  - ATS 복귀불능, ATS차상장치(차내장치)고장시 관제 승인 후 ATSCOS차단(ATS개방)하여 비상제동 완해

 

 4) ATCCOS

  - 운전실 뒤 벽 배전반 우측에 위치

  - ATCN, ATCPSN 차단시, 속도초과로 자동7단제동 작용중 -> 감속도부족검지, ATC차상장치 고장으로 비상제동 체결

   *감속도부족 = 3초 내 감속도 2.4km/h 이하일경우

  - 관제 승인 후 ATCCOS차단시 ADU에 정지신호모드 현시 후 15km/h 속도코드 모드 현시

  - 45km/h 로 지령운전

  - ADU(운전실 ATC속도계)는 FLASH, 8초마다 경고음이 울림

 

 5) EBCOS

  - 운전실 전면 유리 위 천장에 위치

  - 말그대로 비상제동(EB)가 체결되어있는데 어떠한 이유로 풀리지 않을때 강제로 개방(CO cut-out) 해주는 스위치

  - 그 어떠한 이유

     : MR압력 부족(6kg이하)

     : 전후 운전실 비상제동스위치(EBS) 취급 후 복귀 불능시

     : RSOS가 정상위치에 있지 않을경우

     : ATC,ATS 관련 회로차단기 차단되었다가 복귀가 되지 않을 때

     : DSD 동작하여 비상제동 체결되었으나 복귀가 되지 않을때 

 

3. 보안제동

 

 

   - 보안제동은 상용, 비상제동으로 제동을 체결 할 수 없을 경우 사용

  - 보안제동 스위치 취급 -> 33선 여자 -> 각 차량의 ScBV여자

  -> ScR 공기가 PRV에서 4kg으로 조정 -> ScBV를 통해 제동통으로 공급, 공기제동 작용

  - 순수 공기제동만 체결됨

  - 비상제동처럼 응하중기능 이런거 없음. 불가능

 

4. 주차제동

  - 스프링 작용에 의해 동작 (디스크 브레이크와 비슷함)

  - 주차제동통은 TC차 전부대차 2,3위측에 2개가 설치되어있음

 

 1) 주차제동스위치 (OV)

  - 운전실에 설치되어있음. 주자위치/완해위치 2개가 있는 기계적인 스위치

  - 주차위치 : 주차제동통 압력을 스위치 배기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 -> 공기로 지탱하던 스프링압력 -> 대차를 누름

  - 완해위치 : 주공기관 압력공기를 제동통으로 공급 -> 스프링이 당겨짐

 

 2) 주차제동 공기압력 스위치 (PBPS)

  - OV에서 주차제동통 사이의 공기관을 분리하여 기관사 제어대 하부에 설치함

  - 6kg 이하일 경우 견인회로를 차단, 주차제동작용 표시

  - PBPS는 6~7kg [4호선은 6.5~7.5]

 

 3) 주차제동통

  - 앞, 뒤 TC 전부대차 2,3위 제동통에 부착

  - 대차 우측면으로 주차제동강제완해 손잡이를 부착함

 

 4) 주차제동 강제완해 방법

  - 주차제동스위치 [주차위치]

  - BC전완해콕크 차단 (주차제동통 압력공기를 배기시킴=디스크에서 브레이크패드가 이완되는것 확인)

  - 주차제동 강제완해 손잡이[정식명칭 : 주차제동 수동완해 당김고리] 취급 

  - BC전완해콕크 복귀

  - 주차제동 완해위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