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HRDA 구원운전

2020. 10. 8. 00:40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728x90
반응형

 

1. 구원운전

  열차 운행 중 차량고장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합병운전 시 사용하는 제동장치

 

2. 구원운전 취급기기

  1) 연결기 공기마개

     열차 연결하기 전 반드시 제거 - 공기관을 연결시키기 위함

 

  2) 12JP선 ⭐무조건 암기⭐

선번호 기능 선번호 기능
10 회생제동선 100 접지선
27-29 상용제동선 145 출입문 연동선(DS접점)
31-32 비상제동선 164 승무원연락부저
33 보안제동선 175-176 승무원연락통화(인터폰)

  3) 공기콕크

  - VVVF와 연결 : MR관

  - 저항차와 연결 : MR, SAP, BP관

  - 디젤기관차와 연결 : BP관연결, BP앵글콕크 개방 및 무화회송 콕크 개방

  - 차종에 따라 1,2,3지변까지 설치되어 3지변까지 개방해야 하기도 함

 

  4) 103선 연결케이블

  - VVVF 차량이 고장으로 구원연결시, 축전지전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연결

  - 축전지 방전으로 인한 비상제동 완해불능, Pan하강, 출입문취급, 객실등이 소등되는것을 방지

  - 12JP선과 같이 적재

  - 103선 연결시에는 고장차량 103선을 차단(Pan하강 및 제동핸들 취거) 후 연결해야함 

 

  5) RSOS (구원운전스위치)

 

1위치 2위치 3위치 4위치 5위치
VVVF -> 저항 저항 -> VVVF 정상 VVVF -> VVVF 디젤 -> VVVF

*1위치의 경우 VVVF 차량이 고장난 저항차를 구원한다는 뜻

*5위치의 경우 디젤기관차가 VVVF차를 구원한다는 뜻

 

3. 구원운전 제동회로

  - 추진운전 : 고장열차 역행 불능, 구원열차 ATCCOS, ATSCOS 취급

  - 견인운전 : 고장열차 역행 불능, 고장열차 ATCCOS, ATSCOS 취급

.

구원하는 열차 기관사 조치방법 ⭐무조건 암기 / 기능 구술평가 항목⭐
 1.  관제사에게 고장열차 위치 확인
 2.  최근역 도착하여 승객 전체 하차, 전령자 승차 후 차내신호로 운전
 3.  고장차 50m 앞 일단 정차/고장차 3m 앞 정차
 4.  밀착연결기 공기마개 MR관, BP관, SAP관2개 제거, 연결기 높이 확인
 5.  단속단으로 고장열차와 연결
 6.  근소퇴거로 연결상태 확인
 7.  MC키 취거, 제동핸들 취거, MR관 관통, 12JP선 연결
 8.  RSOS 과천선/분당선위치(4위치)로 절환
 9.  고장차, 구원차 모두 제동핸들 동시에 7단 유지
 10. 관제승인 후 ATSCOS, ATCCOS 차단
 11. 제동시험 및 연락방송 시험 후 관제에 통보

.

고장 열차의 기관사 조치방법 ⭐무조건 암기 / 기능 구술평가 항목⭐
 1.  관제사에게 차량고장 알림, 및 구원요구
 2.  제동핸들, MC키 취거 후 후부운전실로 이동
 3.  후부운전실 배전반 내 DILPN차단, 전호기 휴대
 4.  밀착연결기 공기마개 MR관, BP관, SAP관2개 제거, 연결기 높이 확인
 5.  구원열차와 연결, 연결상태 확인
 6.  MR관 관통, 12JP선 연결
 7.  후부운전실 RSOS 과천선/분당선위치(4위치)로 절환
 8.  전부운전실로 이동하여 제동핸들 7단 유지
 9.  제동기능시험, 연락방송시험, 부저시험 
 10. 관제에 보고 후 전도운전

   *제동핸들 7단 유지 : 고장차, 구원차의 비상제동회로를 구성하기 위함

 

  - RSOS 접점, 12JP선 연결 -> BEETR 여자 

  - BEER 연동으로 12JP선 중 9개(10,27,28,29,31,32,33,100,164선) 연결 

  - BEER 1~5가 계속 여자되어 상호 제동취급 가능

  - 12JP선 연결 즉시 145.175.176선은 연결 됨

 

  - 상용/비상제동 모두 전기적 제동지령선(10,31,32선)에 의해서 제동취급 가능

 

  - 과천선(VVVF) 차량과 4호선(VVVF)차량 간 구원연결시 제동회로

     : 4호선 RMS=1위치, ES=S(vvvf,쵸퍼) 위치 / 과천선 RSOS=4위치

       *4호선의 RMS + ES스위치 = 과천선 RSOS

       *RMS는 4개위치 존재 / ES는 3개위치 존재

 

4. BTU (제동중계장치)

  - HRDA제동장치(VVVF차)와 SELD직통제동(저항차), 디젤기관차와 구원으로 열차 합병시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 TC차 BTU함에 설치되어 있음

 

  - 제동중계기

     1) 상용제동 지령변환

         - SAP(직통관), BP(제동관)공기의 안날로그 전기신호를 7단 디지털 신호로 변환

         - 상용제동지령선으로 출력되어지기 위해 2진코드로 변환

         - 전기지령식 -> SAP지령식으로 변환시 제동체결전자변(AV)와 완해전자변(RELV)의 제어지령출력을 위해

           아날로그로 변환

     2) 비상제동 지령변환

         - SAP지령 열차의 153선을 여자시켜 BP압력공기를 배기

         - 완해시 비상전자변은 배기변을 차단

         - BP공기압력은 KNR 기존 전기동차의 제동변에 의해 충기됨

     3) AV(제동체결전자변)

         - 압축공기를 SAP관에 공급, 제동중계기에 의해 생성된 제어지령에 의한 압력을 중첩시킴

     4) RELV(제동완해전자변)

         - SAP공기배기, 제동중계기에 의해 생성된 제어지령에 의한 압력 중첩

     5) BPS(압력스위치)

         - BP압력의 감압을 감지, 비상제동지령선 차단

     6) CGEV(비상전자변)

         - 전기지령식 열차에서 비상제동지령시 토출변(VV) 작동

     7) VV(비상토출변)

         - SAP,BP지령으로 열차 비상제동 체결시, 비상전자변 소자에 따라 BP공기를 대기로 방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