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제동장치 - KNORR ECU, 제동제어시스템

2020. 11. 18. 01:31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728x90
반응형

 

 

 

## 집중주의 ## 그림 5% 글 95% 의 게시글입니다 ##

 

 

 

1. ECU(제동제어장치)

  1) 각 차량의 제동작용장치와 활주방지장치의 제어

  2) 제동력제어

     - 제동기준신호에 의해 BOU의 전공전환변에서 Cv를 생성

     - 중계변에서 제어압력에 상당하는 제동통 압력 출력

  3) 활주방지장치

     - 황주방지변에 의해 활주가 발생하는 대차당 제동통 압력을 최적의 슬립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 신속하게 낮추어 줌으로 낮은 점착조건 하에서도 제동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음

  4) 입력신호

제동지령신호1~7단 취급에 의해 순 2진3비트 신호 입력
신속완해신호EBRS 취급 시, 신속완해는 정차상태에서 작동, 제동지령 시 중지
제동감시신호BCPS를 통해 제동력 부족 및 제동불완해를 검지하기 위해 사용
회생제동 유효신호회생제동력의 작동유무 신호가 GCU(제어장치)로 부터 입력
차량인식신호제동제어장치가 어느 차량에 설치되었는지 인식 할 수 있게 입력
정차제동완해신호PS취급하여 동력운전모드로 바뀌게 됨과 동시에 완해신호로 입력
회생제동등가신호혼합제동을 위해 총요구제동력의 부족분을 공기제동력으로 담당하도록 제어
구원모드신호(TC)VVVF 상호, 저항-D/L, 쵸퍼차와 구원연결 시 입력
응하중신호양 대차의 공기스프링 평균압력 0~8kg을 제동작용장치의 압력변환기를 통해 2~10V 아날로그신호로 입력
비상제동신호시스템 이중안전화를 위해 비상제동인식 시, 전공변환벨브에서 별도의 바상제동력 생성
보안제동신호응하중 제어 불가
속도신호속도검출기에서 차량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 형태의 펄스를 전송
제어압력스위치신호비상제동시, 비상제동 전자변, 공전변환밸브 출력을 감시

  5) 출력신호 

전공전환변 제어신호제동지령과 제동완해 신호로 사용
활주방지변 제어신호제동통 압력을 조절(배기, 균형유지, 충압)
고장신호전송코드로 전환, TGIS 에 전송
상용제동신호1~7단 상용제동지령을 전차량에 인가
제동력부족감시신호(ISBR)상용 7단제동시 제동력부족 감시, 전공변환밸브에 최대압력 출력 지령
제동불완해 감시신호제동불완해 감시, 제동력부족 감시, 전공변환밸브에 최대압력 출력 지령
직통관 압력 작동신호(TC)구원운전 시 1~7단 제동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SAP 압력으로 변환되도록 저항차의 제동전자변(AV) 제어
직통관 압력 완해신호(TC)SAP압력이 완전히 배기되도록 저항차의 완해전자밸브(RV) 제어
제동통 압력 기록 
응하중 신호 등 

 

728x90

2. 크로스블랜딩

  - 1개 유닛의 총 요구제동력 중에서 M차의 회생제동력 잉여분으로 T차의 공기제동력을 보충하여주다가

  - M차의 회생제동력이 부족하게 되면 M차도 공기제동력이 작동되도록 제어

 

3. 져크제어

  - 감속도의 급격한 변화량을 제한, 승차감을 향상

  - 전공변환밸브에 입력되는 전기지령을 선형적으로 제어

 

4. 제동초입기능

  - 혼합제동시 제동통에는 공기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을 정도의 초입압력을 유지시킴

  - 전기제동 off시 신속히 공기제동이 체결되어 공주거리를 줄여주기 위한 기능

  - T차 0.5kg  /  M차 0.3kg

 

5. 인쇼트기능

  - 제동시 짧은시간(0.08초) 동안 비상제동 지령

  -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하여주는 기능

  - 10km/h 이상에서만 작동

 

6. 고장그룹 1 (경미한 고장)

  - 응하중 압력이 공차시 보다 작은 값이 입력된ㄴ 경우

  - 비상전자밸브 고장 : 비상제동 시 압력스위치가 6.5kg 이하를 지시

  - 압력스위치 고장 : 비상제동 지령이 없을 때 압력스위치가 6.5kg 이상을 지시

  - 속도연산 관련 제어계토 고장 발생 시

 

7. 고장그룹 2

  - 전공변환밸브위 제어지령과 출력의 오차가 ±10% 이상이면 전공변환밸브의 고장으로 판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