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3. 19:46ㆍ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1. MCB 투입 전 확인사항
- 전차선전원표시등 (ACV, DCV등) 점등으로 Pan 상승, 전차선 전원 공급상태 확인
- ADS(교직절환스위치) 정위치 확인
- 전부 운전실 MCN, HCRN 투입 상태 확인
- 전, 후 운전실 TEST 스위치 동작여부 확인
- 각 M'차 배전반 내 MCBN1, MCBN2, ADAN, ADDN, MTOMN, MTBMN 투입 상태 확인
- M, M'차 배전반 내 CIN 투입상태, 차체 하부 MCB공기관콕크 차단여부 확인
* MCBN1 - 교류구간 MCB 차단기
* MCBN2 - 직류구간 MCB 차단기
* ADAN - 교류구간 MCB 제어회로 차단기
* ADDN - 직류구간 MCB 제어회로 차단기
* MTBMN - 주변압기 송풍전동기 차단기 (Main Transformer Blower Motor)
* MTOMN - 주변압기유 펌프 전동기 차단기 (Main Transformer Oil Pump Motor)
2. 전압계전기, 전압계전기용 시한계전기 동작 회로 (ACVR, DCVR)
* ACVR - 교류전압 계전기 (AC Voltage Relay)
* DCVR - 직류전압 계전기 (DC Voltage Relay)
- 전차선이 급전된 상태에서 Pan을 상승시키면 전차선 전원에 따라 ACVR, DCVR이 여자
- 전차선이 교류일 경우 : Pan -> PT(계기용 변압기) -> ACVRRe1 -> ACVR 여자
- 전차선이 직류일 경우 : Pan -> DCVRRe1 -> DCVR 여자
- ACVRTR (1초[4호선 1.5초])
교교 절연구간 통과시 일시적 무전압으로 ACVR 개방으로 1초간 여유를 두어MCB 차단을 방지
- DCVRTR (0.5초)
직직 절연구간 통과시, 지하구간 강체가선사용으로 인한 팬터그래프 이선시
일시적 무전압으로 DCVR 개방시 MCB 차단 방지
3. MCB 회로도
- 결선도에서 모든 계전기, 접촉기, 전자변은 무여자 상태로 하지만 회로도 설명을 위해 여자 상태로 설명
- 교류, 직류는 교류위치로 하기 때문에 AC 기준으로 설명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결선도 보는 법
1. 결선도 표기 원칙 약도식으로 기기 표시 전원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 표시 단. Pan은 무가압 상태이나 상승상태로 표기 정해진 기호 사용 동일 기기가 여러개일 경우 숫자로 표기 ex) HCR1, HCR2, HCR
psdoor.tistory.com
3-1. MCB 회로도 중
- HCR : 운전실 선택 완료시 여자
- MCBOR - 제동핸들 삽입시 상시 여자로 회로 구성 ( C/I 중고장시 무여자로 MCB 차단됨 )
- ACVRTR - PAN 상승완료 및 전차선 가압상태이기 때문에 여자 (AC기준)
- DCVRTR - AC구간 기준이기때문에 무여자
- PanPS - 팬터그래프용 제어공기 압력, MCB동작시 필요한 공기압력의 유무를 검사
(공기압력 부족시 MCB 투입 불가 / 정상범위 4.1~4.4kg/㎠)
- SqR2 - TEST 스위치 취급시 여자
- COR2 - MCB 사고차단시 불량차량을 분리 -> VCOS취급으로 정상차량에 MCB 재투입을 위해 설치
4. MCBCS 취급시
- MCBCS 취급 -> ADS 위치에 따라 ADCg가 교류/직류 위치에 있음
5. ADCg에 의해 ADAR1 여자
- ADCg -> ADAR1여자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ADAR1,2가 존재하지 않고, ADCg, ADCm이 동시에 여자됨)
6. MCBR1 여자
- ADAR1여자됨에 따라 MCBR1 여자
* MCBN1 - (MCB투입전 확인사항)
* ACVRTR/DCVRTR - 전차선 전원과 일치하도록 여자/무여자된 상태
* PanPS - MCB 동작시 필요압력 4.1~4.4kg/㎠
* UCORR - 주변압기 고장시 MTAR여자 -> VCOS취급시 UCORR 여자 (저압보조장치에 나옴)
* MTAR - 주변압기 고장시 여자 (저압보조장치에 나옴)
7. MCB-C여자로 MCB 투입
- MCBR1여자 후 MCB-C(MCB 투입코일) 여자 -> MCB제어실린더에 압력공기 유입 -> MCB 투입
* ADCg - 교류위치에서 회로구성
* L1(C) - 고속도차단기, 주회로에 과전류가 흐를경우 주접촉부를 개방, 과전류계전기 동작시 접촉부를 개로하여 회로차단 (주회로장치에 나옴)
* MCBOR - 제동핸들 삽입시 상시여자로 회로구성
* COR2 - MCB 사고차단시 불량차량으로부터 분리
* K - 교류접촉기, 주변압기 2차측에 설치, MCB투입시 CF로 돌입전류 방지, 주회로 고장시 차단되어 개방작용(주회로장치에 나옴)
8. MCBR2 여자
- [5. ADCg에 의해 ADAR1 여자] 이후 MCBR2 여자
- MCB가 어떤 원인으로 차단되더라도 전원을 끊지 않는 한 재투입 방지 (재투입시 MCBOS->MCBCS)
9. MCB-C 소자
- MCB 투입 유지
- MCB-C 무여자로 MCB실린더의 공기를 배출시켜 사고차단에 대비
요약
MCBCS취급 -> ADCg정위치 -> MCBR1 여자 -> MCB-C여자(MCB투입) -> MCBR2여자 -> MCB-C소자(MCB투입유지)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MCB 차단 회로
1. MCB 투입 과정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MCB 투입 회로 1. MCB 투입 전 확인사항 - 전차선전원표시등 (ACV, DCV등) 점등으로 Pan 상승, 전차선 전원 공급상태 확인 - ADS(교직절환스위치) 정위치
psdoor.tistory.com
한눈에 보는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목차별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주 2회씩 업로드 하려고 노력하고있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1. 총설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총설 1. 철도의 역사 - 1530년경 독일 탄광에서 시작 - 1776년 ��
psdoor.tistory.com
'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EGS 동작, 운전실교환회로 (4) | 2020.06.24 |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MCB 차단 회로 (0) | 2020.06.24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Pan(팬터그래프) 제어 (11) | 2020.06.11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ACM 구동 (1) | 2020.06.09 |
[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 특고압 - 운전실 선택회로 (2) | 2020.06.07 |